home EBM 소식 인사이드 스토리
제목 생활습관으로 유방암 안녕!
작성자 이비엠센터 작성일 2025-07-26 조회 188
<관련이슈>
유방암은 여성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이다. 젊은 나이, 가족력 없음, 통증 없음에도 불구하고 어느 날 갑자기 유방암이 발견될 수 있다. 그러나 유방암의 5년 생존율은 95% 이상이며, 국내 유방암 치료 성적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방암에 대한 잘못된 정보로 인해 불필요한 두려움을 갖는 경우가 많다. 유방암에 대해 올바르게 인식하면 예방과 치료가 가능하다.

유방은 여러 조직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구조이지만, 그중 가장 중요한 조직은 유선이다. 유선은 유즙을 생성하며, 생성된 유즙은 유관을 통해 유두로 배출된다. 이 유관의 내부 세포가 변형돼 비정상적으로 성장하면 유방암이 된다. 

<유방암의 종류>
유방암이란 유방 안에 머무는 양성 종양과 달리 유방 밖으로 퍼져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악성 종양이다.

1. 종류
a. 침윤성 유관암 
i. 유관을 이루는 세포에서 기원한 암이 유관의 기저막을 침범했을 때, 이를 침윤성 유관암이라고 한다. 
ii. 유방암의 대표적인 유형으로 전체의 75~85%를 차지한다.

b. 침윤성 소엽암
i. 소엽을 구성하는 세포에서 기원한 암으로, 전체 유방암의 5~10%쯤 된다.
ii. 침윤성 유관암과 예후는 비슷하지만 다발성이나 양측성의 빈도는 더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c. 유관 상피내암(비침윤성)
i. 유관 세포에 생겼으나 유관 기저막을 침범하지 않아 ‘0기 암’이라고도 하는 것이다.
ii. 유관상피내암은 침윤성 유방암보다 훨씬 예후가 좋지만, 암세포가 기저막을 뚫고 성장하면 침윤성 유관암으로 진행할 수 있다.

d. 소엽 상피내암(비침윤성)
i. 소엽 세포에서 생겨난 암으로, 소엽 기저막을 침범하지 않은 0기 암이다.
ii. 유관 상피내암에 비해 젊은 연령층에 흔하고 다발성, 양측성의 빈도가 높다. 이 또한 암세포가 기저막을 뚫고 성장할 경우엔 침윤성 유관암이나 침윤성 소엽암으로 진행할 수 있다.

e. 유방 파제트병
i. 유두 및 유륜의 피부에 주로 발생하는 유방암의 특수한 형태로, 전체 유방암의 1~2% 미만인 드문 암이다.

f. 침윤성 유방암의 다른 종류들
i. 점액성 암, 수질성 암, 유두상 암, 관상 암, 선양낭성(암종, 분비성 암종, 아포크린 암종, 화생성 암종 등 여러 종류가 있다. 

g. 남성 유방암
i. 여성 유방암의 1% 이하 빈도로 발생하며, 침윤성 유관암이 가장 흔하다.

2. 예방
- 에스트로겐 노출 기간: 이른 초경, 늦은 폐경, 출산을 하지 않았거나 30세 이후 출산, 모유 수유를 하지 않은 경우 고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위험성을 줄이는 예방인자이다. 

- 비만: 비만은 폐경 후 여성의 유방암 위험도를 증가시킨다. 비만 여성일수록 지방조직이 많고 따라서 에스트로겐의 수치도 높아져 유방암 발생을 증가시킨다. 

- 운동: 운동 자체가 체내 호르몬과 에너지 균형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이라는 보고가 최근에 발표되었다. 아직 암을 예방하는 최소한의 운동 빈도, 기간, 강도 등은 입증되지 않았으나, 일주일에 5회이상 45~60분 운동을 지속하면 유방암의 발생률을 줄일 수 있다는 보고가 많다. 

- 음주: 알코올의 대사물인 아세트알데히드는 발암물질로 알려져 있고, 체내 지방의 과산화나 활성 산소를 유리할 수 있다. 알코올을 자주 섭취하면 필수 영양소의 부족을 초래해 발암 과정에 취약해질 수 있으므로 음주를 삼갈수록 유방암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 호르몬대체요법이나 경구피임약: 장기간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틴을 병합한 호르몬대체요법을 받은 여성에서 유방암 발생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복용 중단 후 수년이 지나면 사라진다.  

- 기타: 뚜렷한 가족력이 있거나 BRCA1 또는 BRCA2와 같은 유전자 변이가 있어 유방암 발병위험도가 현격히 높은 여성들에 대해 타목시펜이나 랄록시펜 같은 약제를 투여하여 예방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유전자 변이가 있는 군에서 시행할 수 있는 예방적 유방절제수술과 난소절제술 같은 적극적인 예방 방법도 있다. 

3. 유전체 특성별 유방암 항암 식품
a. 유전체 S타입 : 메밀, 소맥배아, 콩나물, 강낭콩, 완두콩, 된장, 두부, 미역, 다시마, 해삼, 시금치, 상추, 배추, 우엉, 앵두씨, 포도씨
b. 유전체 M타입 : 율무, 수수, 샐러리, 알파파, 참깨, 마늘, 김, 파래, 요구르트(M2타입), 인삼(M1타입), 연근, 브로콜리, 무, 영지, 버섯류, 살구씨, 복숭아씨